건축가 승효상 프로필 나이 학력 고향 건축 작품 활동
건축가 승효상 프로필 나이 학력 고향 건축 작품 활동
승효상
承孝相
출생
1952년 10월 26일 (70세)
경상남도 부산시 (현 부산광역시)
국적
대한민국
본관
연일 승씨
학력
경남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 / 학사)
직업
건축가
종교
개신교 (예장통합)
소속
이로재 대표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가족
승병조(아버지), 문옥숙(어머니), 최덕주(배우자), 슬하 1남 2녀
대한민국의 건축가.
승효상 고향 및 학력
경상남도 부산시(현 부산광역시) 출생으로, 경남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에 김수근이 운영하던 '공간'에 취직했다. 당시 설계한 건물은 천주교 마산교구 주교좌 양덕성당, 한국기독교장로회 경동교회 등이다.
광주민중항쟁 이후, 오스트리아 빈으로 유학. 거기에서 아돌프 로스의 '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는다. 2년 후 곧장 빈에서 한국으로 돌아왔다.
1989년도에 빚을 청산하고 독립하여 자신의 건축사무소 '이로재'를 만든다.
1990년도에 4.3그룹을 결성하는데, 당시 건축계는 학연으로 뭉쳐 있어 담론이 형성되지 않고 건전한 비판을 통한 자정기능을 상실해 있었다. 30~40대 건축가들이 1990년 4월 3일에 모여 학연을 떠난 건전한 담론의 장을 만들었으나, 2년 후에 해체되었다. 승효상은 이 그룹을 통해서 김수근 아류에서 자신의 건축을 하게 되었다고 스스로 말한다.
대표적인 건축물으로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의 저자이자 전 문화재청장인 유홍준의 자택인 수졸당이다. 수졸당의 의미는 "졸렬함을 지키는 집"이다.
이 수졸당이 그의 대표작인 이유는 그의 건축 철학인 "빈자의 미학"을 구현한 첫 작품이기 때문이다. 빈자의 미학은 "호화로운 건축에서 허황되고 거짓스러운 삶이 만들어지기 십상이고, 초라한 건축에서 바르고 올곧은 심성이 길러지기가 더 쉽다"라는 것이다. 그가 김수근의 사후에 김수근 건축이 아닌 자신의 건축을 하기 위해서 고민하다가 금호동 달동네에 갔을때 가난한 사람들끼리. 서로의 소유가 아닌 공동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건축적 아이디어에서 영향을 받아 빈자의 미학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타인의 가난을 미학적 도구로 승화시킨 것.
수졸당은 동선이 간단하지 않기로 유명하다. 아파트 같은 현대 건축물의 설계에서 나타나는 동선의 단순화를 거부해서, 수졸당의 동선은 복잡하다. 그는 수졸당을 비롯한 자신의 작품에 동선이 복잡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요즘 사람들은 너무 편하게 살아서 게을러.
그러니 집에 와서라도 불편하게 살아야지.
집에서 조금이라도 걸어다녀야 운동하는 거 아닌가?
나는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사람을 끊임없이 움직이게 만들고 싶어
그래야 건강에도 좋아.
그리고 끊임없이 움직여야 살아있다는 증거가 되는 거야.
2014년 9월 10일 서울특별시 초대 총괄 건축가 자리에 지명되었다. 앞으로 서울시의 도시정책, 건축문화, 공공 공간, 도시계획 전반에 대해 시장에게 조언해주게 된다.
2017년 8월 28일, 동아대학교 석좌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2018년 4월 16일,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에 위촉되었다.
승효상 여담 일화
웹진 아르코에서 인터뷰를 한적이 있는데, 읽어보면 승효상의 건축철학이나 개인사를 알수 있다.
조선총독부 청사 해체 당시 강하게 반발했던 적이 있다. 해체 결정에 대해 배타적 국수주의, 문화적 편협성, 반문화적 폭거, 천민문화라고 결사반대하였다. 때문에 90년대 중반 당시에는 외세에 의하여 우리 문화재를 부수고 그 옆에 강제로 지어진 건물을 문화주의라고 옹호하는 왜색문화주의자, 그런 걸 지키면 넌 양반 문화라고 우쭐거리느냐고 욕도 많이 들었고 이런 분위기 속에 한동안 건축 의뢰도 많이 줄어서 경제적 타격도 받아야 했다. 그래도 지금도 이걸 아쉬워하고 인터뷰에서 안타깝게 여긴 반응을 보였다. 최근 세운상가 관련한 문제도 그렇고 기본적으로 건물을 부수고 다시 짓는 재건축, 재개발 등에 극히 부정적인 편인데, 승효상뿐만 아니라 한국 건축학계에 이러한 경향이 상당히 강하고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당시에도 건축학계는 일치단결해 철거를 반대했었다. 지금은 어느 정도 누그러져서 맹목적인 철거 반대를 주장하지는 않으나, 적어도 총독부가 있었다는 흔적은 남겼어야 한다며 아쉬워한다.
문재인 대통령, 그리고 이윤택과 경남고등학교 동기동창이다. 이 당시 '문과는 문재인, 이과는 승효상'이라는 말이 유행했다. 문재인 대통령 집권 후 광화문으로 이전할 청와대를 정부서울청사가 아닌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 또는 국립민속박물관 건물을 개조하여 새 청와대로 만들자는 주장을 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개인의 의견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열린민주당 최강욱 의원의 후원회장이다.
그가 건축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에 대해서는 비판하는 의견이 있다. 노무현 대통령의 정신이었던 소통과 열림과는 정반대로, 철판으로 묘지를 눌러놓고 또 주변에 철판을 세워놓아 닫히고 답답한 형태의 묘지를 만들었다는 것. 녹슨 철판이 봉하마을의 경관이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도 있다.
조선일보 선우정 논설위원은,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기라"라는 노무현의 유언에 불구하고 승효상이 설계한 묘역은 1000평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문재인이 대통령 퇴임 후 살 사저도 승효상이 설계했는데, 창문도 작고 회색 외벽과 박공지붕이 유독 도드라진 형태여서, 동아일보 김순덕 대기자는 "'자연인’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됐다는데 참 미안하게도 거의 바스티유 같다."라고 혹평했다.
승효상 대표 작품
시안가족추모공원 (2014년)
수졸당 (1993년)
수백당 (1998년)
웰콤시티 (2000년)
대전대학교 혜화문화관 (2003년)
대전대학교 30주년기념관 (2010년)
대전대학교 레지덴셜 칼리지 기숙사(HRC) (2018년)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2006년)
베이징 장성호텔
휴맥스빌리지
아부다비 문화지구 전시관
쿠알라룸푸르 복합빌딩
파주출판단지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신동엽 문학관
천주교 서울대교구 중곡동성당